우리나라의 고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05 10:33
본문
Download : 우리나.hwp
그러나 사료 가운데서 문자에 의한 기록문서가 가장 우위를 점한다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고문서․고기록을 비롯하여 책․신문․일기․서한 등의 문헌은 물론, 가요․구비전설(口碑傳說)에서 문자에 의한 전승, 예를 들어 금석문․족보․연대기․회화, 유물로서의 인골(人骨)․석기․도기․집터[住居址]․언어 등이 모두가 사료이다. 역싸가는 사료에 의해 사실을 인식 판단하여야 하는 까닭에 역싸 연구의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그 대상은 직접 우리들이 지각(知覺)할 수 없는 것이다. 역싸 연구법은 일반적으로 사료학(史料學)과 사료비판(史料批判)으로 나누어 설명된다. 물론 사료는 문헌사료뿐만 아니라 인간에 의해 만들어지고 남은 모든 것이 사료이다. 사료학은 사료의 수집법과 정리 분류법을 내용으로 한다. 사료의 탐사․수집․정리․음미․해석 등의 기술론은 역싸 연구법으로서 독일의 근대사학에서 학문적으로 체계화되어 역싸학을 실증적 기초 위에 선 과학으로서 발달시키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사료비판은 외적 비판과 내적 비판으로 나누어지며 외적 비판이란 사료 그 자체에 관해, 그것의 진위(眞僞) 여부, 원사료(原史料)에 대한 타인의 첨가 여부, 필사(筆寫)인 경우의 오류의 문제, 혹은 사료가 만들어졌을 단계에서 작자․장소․연대 및 전거(典據) 등에 관해 사료의 가치를 음미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것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남아 있는 기록문서, 즉 사료(史料)를 매개로 하여 인식된다. 한편, 작자가 사료로서 전하는 것이 반드시 역싸적 진실이라고는 할 수 없는데,
●언문지(諺文志)
●동문휘고(同文彙考)
다. 제6장 종교 철학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제1장 역싸지리
●매월당집(梅月堂集)
●문헌비고(文獻備考)
우리나라의고서 역사지리서 치경제군사 국어 국문학 / (우리나라의 고서)
●동문선(東文選)
●동사강목(東史綱目)
우리나라의고서 역사(歷史)지리서 치경제군사 국어 국문학 / (우리나라의 고서)
●동국통감(東國通鑑)
●훈몽자회(訓蒙字會)
●성학집요(聖學輯要)
●반계수록(磻溪隨錄)
●금오신화(金鰲新話)
순서
●농사직설(農事直說)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악학궤범(樂學軌範)
●용재총화(慵齋叢話)
●해동역싸(海東繹史)
●제승방략(制勝方略)
Download : 우리나.hwp( 83 )
제7장 유서 문집
●정감록(鄭鑑錄)
●대전회통(大典會通)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
Ⅲ. 맺음말
제2장 정치경제군사
●목은집(牧隱集)
●성호사설(星湖僿說)
●서유견문(西遊見聞)
●포은집(圃隱集)
●자산어보(玆山漁譜)
1) 국어학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통문관지(通文館志)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3장 국어 국문학
●계원필경(桂苑筆耕)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가곡원류(歌曲源流)
●해동가요(海東歌謠)
●징비록(懲毖錄)
●청구영언(靑丘永言)
●탁지지(度支志)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Ⅰ. 머릿말
●구운몽(九雲夢)
●지봉유설(芝峯類說)
2) 국문학
제4장 과학 기술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Ⅱ. 본문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경세유표(經世遺表)
●성학십도(聖學十圖)
●북학의(北學議)
우리나라의 고서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우리나라의고서 역사지리서 치경제군사 국어 국문학
●훈민정음(訓民正音)
●악장가사(樂章歌詞)
●한중록(閑中錄)
●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설명
●증수무원록(增修無寃錄)
제5장 예술 풍속
●파한집(破閑集)
역싸는 과거에 있어서의 인간의 행위를 대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