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에 대하여 (작품 analysis)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30 12:57
본문
Download : 향가에 대하여 (작품 분석).hwp
충담사는 명을 받들어 안민가를 지었다. 충담사 관련 담은 다음과 같다. <삼국유사 월명사 관련 담>
1. 意精於詞 故云腦也 : 뜻과 말에서 정교하므로 뇌라고 일컫는다. <균여전>
향가에 대하여 (작품 analysis)
향가에 대하여 (작품 분석)
Download : 향가에 대하여 (작품 분석).hwp( 26 )
향가에 대하여 (작품 analysis)
찬기
향가에 대하여 (작품 분석) 향가에 대하여 (작품 분석) 향가에 대하여 (작품 분석) 향가에 대하여 (작품 분석)
향가에 대하여 (작품 analysis)
향가에 대하여 (작품 分析(분석))
3. 詞淸句麗 : 말이 맑고 구절이 아름답다.
위의 개념을 바탕으로 향가와 사뇌가의 성격을 밝혀보자면 아래와 같다.) <균여 작품 한역에 붙인 최행귀의 서문>
.
1. 意精於詞 故云腦也 : 이 언급을 바탕으로 사뇌가의 성격을 규정짓자면 다음과 같다.
다. 그러므로 왕왕 천지귀신을 능동하게 한 일이 많았다.
2. 其意甚高 : 그 뜻이 격조가 높다. 十一首鄕歌 詞淸句麗 其爲作也 號稱詞腦 (11수의 향가는 말이 맑고 구절이 아름다우므로 그 작품을 사뇌라고 일컫는다. <삼국유사 충담사 관련 담>
“그 뜻이 격조가 높다”는 문학성이 뛰어나다는 말로 바꾸어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설명
순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2. 其意甚高 : 삼국유사 충담사 관련 담에서 언급 된 용어이다. 향가는 시송과 같은 것이다. 어느 날 경덕왕이 충담사에게 묻기를 “찬기파랑사뇌가는 그 뜻이 아주 높다는데, 과연 그런가?”라고 했다.
.
향가에 대하여 (작품 analysis)
-5105_01_.jpg)
-5105_02_.jpg)
-5105_03_.jpg)
-5105_04_.jpg)
-5105_05_.jpg)
.
(2) 향가의 성격
5. 羅人尙鄕歌者尙矣 盖詩頌之類歟 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非一 : 신라사람은 일찍부터 향가를 숭상했다. 사뇌가는 말이 정교한, 즉 형식미가 있는 문학 양식이다. 충담사가 그렇다고 답하자 경덕왕은 충담사에게 안민가를 지으라고 명했다. <균여전>
향가에 대하여 (작품 analysis)
4. 夫詞腦者 世人戱樂之具 : 대저 사뇌란 세상 사람들이 놀고 즐기는데 쓰는 도구다. 이 담을 바탕으로 하여 사뇌가의 성격을 발견할 수 있는데 그것은 아래와 같다.
이하는 균여전과 삼국유사에 언급 된 향가 관련 용어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