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법제 공통)유치권이 설정된 부동산이 경매되는 경우, 다른 권리(저당권, 채권 등) 내지 제도(가압류, 압류)와의 관계에…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07 20:26
본문
Download : 법학과 4학년 부동산법제 공통.hwp
점유는 직접점유와 간접점유를 포함하나 민법 제328조에 의해 그 점유는 계속되어야 하고, 채무자가 직접점유를 하는 간접점유의 형태로는 유치권이 성립할 수 없다. 日本(일본)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민법 제320조 제2항에서 “전항의 규정은 그 점유가 불법행위로 인한 경우에 적용하지 아니한다. 여기서 타인은 채무자에 한하지 아니하고 채무자 이외의 제3자까지 포함하는 것이 통설 및 판례의 입장이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유치권이 설정된 부동산이 경매되는 경우, 다른 권리(저당권, 채권 등) 내지 제도(가압류, 압류)와의 관계에서 유치권이 소멸하는지에 대해 논해 보겠다.부동산법제,유치권,저당권,채권,방송통신대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유치권은 ① 타인의 물건 또는 유가증권을 ② 점유하는 자가 ③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에 관하여 생긴 채권이 ④ 변제기에 있는 경우 ⑤ 그 점유가 불법행위로 인한 것이 아닌 때에 그 물건 또는 유가증권을 유치할 수 있는 권리이다. 그리고 유치권의 소극적 성립요건인 불법점유란 소유자뿐만 아니라 제3자에 대한 불법행위에 기해 목적물을 점유하는 것도 포함한다. 상사유치권이 채무자 소유의 물건 또는 유가증권이라고 명시적으로 규정한 것에 비해 민사유치권은 타인의 물건 또는 유가증권이라고만 규정하고 있으므로 여기서의 타인은 채무자 외 제3자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라고 규정하고 있어, 불법행위로 인해 점유를 개시한 경우뿐만 아니라, 처음에는 적법한 권한에 의해 점유를 개시하였다고 하더라도 도중에 권한이 소멸하여 사후적으로 불법점유가 되는 경우도 이에 포함된다고 보는 것이 다수설이다.
법학과 4학년 부동산법제 공통
I. 서 론





* 다양한 자료(data)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참고한 문헌
설명
(부동산법제 공통)유치권이 설정된 부동산이 경매되는 경우, 다른 권리(저당권, 채권 등) 내지 제도(가압류, 압류)와의 관계에서 유치권이 소멸하는지에 대해 논하라.
Download : 법학과 4학년 부동산법제 공통.hwp( 64 )
II. 본 론
I. 서 론
1. 다른권리와의 관계에서 유치권의 소멸
법학과 4학년 부동산법제 공통 유치권이 설정된 부동산이 경매되는 경우, 다른 권리(저당권, 채권 등) 내지 제도(가압류, 압류)와의 관계에서 유치권이 소멸하는지에 대해 논하시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III. 결 론
2. 다른권리와의 관계에서 유치권의 소멸 판례
순서
유치권이 설정된 부동산이 경매되는 경우, 다른 권리(저당권, 채권 등) 내지 제도(가압류, 압류)와의 관계에서 유치권이 소멸하는지에 대해 논하라.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