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한반도 정세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8 08:25
본문
Download : 2014년 한반도 정세(2).hwp
북한은 `새로운 형태의 핵實驗(실험)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외무성 성명에 이어 서해 북방한계선(NLL) 지역에서 500여발의 포사격을 실시하며 긴장을 높이고 있따 북한이 최근 日本 을 사거리로 두는 노동미사일까지 발사했다는 점에서 추가 도발 수단으로는 우선 중거리 미사일인 무수단 발사 등이 거론되고 있따 실제 동해안 일대에서 북한이 새롭게 미사일 발사를 준비하는 징후도 포착되고 있따 북한이 중장거리 로켓을 발사하게 되면 유엔 안보리 차원의 대응이 불가피하다.
지난 2월21일 신형 방사포 발사를 스타트으로 긴장을 높여온 북한이 추가적으로 긴장 수위를 높이는 조치를 할 경우 한반도 정세는 더욱 경색될 展望이다. 안보리는 북한의 노동 미사일 발사에 대하여도 지난달 28일 엄중 경고 입장을 내는 등 북한 도발에 대해 과거보다 민감하게 보고 있는 상태다.
윤덕민 국립외교원 원장은 1일 `북한에 있어 미사일 발사와 핵實驗(실험)은 대외적인 카드라기보다는 무기개발`이라면서 `북한은 언제든 할 것인데 가장 좋은 환경이 조성될 때를 그 시점으로 선택할 것인데,…(생략(省略))
설명
Download : 2014년 한반도 정세(2).hwp( 61 )
다.
문제는 작년 2월 3차 핵實驗(실험) 때처럼 북한이 안보리의 추가 조치를 4차 핵實驗(실험)의 명분으로 쓸 수 있다는 점이다. 북한이 4차 핵實驗(실험)을 감행한다면 시기적으로는 4월 초중순이 될 가능성이 있따 13기 최고인민회의 1차회의(9일), 김일성 생일(15일), 인민군 창건일(25일) 등의 내부 정치 일정을 앞두고 도발에 따른 대내외적인 결과 를 극대화할 것이란 分析(분석)에서다.
이 시기를 맞추기 위해 북한이 4차 핵實驗(실험)까지 숨 가쁘게 도발 수위를 높여갈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순서
2014년 한반도 정세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한반도,정세,공학기술,레포트
2014년 한반도 정세 , 2014년 한반도 정세공학기술레포트 , 한반도 정세
레포트/공학기술
2014년 한반도 정세
REPORT
` 2014년 한반도 정세 `
2014년 한반도 정세가 `긴장 고조냐, 국면 전환이냐`의 기로에 섰다. 왜냐하면 북한에서 4차 핵實驗(실험), 중장거리 미사일 발사 가능성 거론, 北 추가도발 여부와 도발 수위가 1차 판단 기준 방향을 결정할 중대 변수는 정세 불안정성을 높여온 북한의 추가 도발 여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