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사회모델 사례(instanc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3-03 15:12
본문
Download : 심리사회모델 사례.hwp
그러나 우리나라의 현 상황에서 논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생각보다, 현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심리・사회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事例(사례)개입 할 때에도 개인과 environment(환경) 모두에게 해야 한다. 이 같이 고등학생인 경우 아직까지 부모님의 effect을 많이 받는 것을 알 수 있다아 그러나 부모님의 뜻과 자녀의 바람이 달라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아
‧‧‧‧‧‧‧‧‧‧‧‧‧‧‧‧‧‧‧‧‧‧‧‧‧‧‧‧‧‧‧‧‧‧‧‧‧‧‧
4
1.
‧‧‧‧‧‧‧‧‧‧‧‧‧‧‧‧‧‧‧‧‧‧‧‧‧‧‧‧‧‧‧‧‧‧‧‧‧‧‧‧‧‧‧‧‧‧
경제적 문제
진로미결정
8)
Ⅱ
개입계획
‧‧‧‧‧‧‧‧‧‧‧‧‧‧‧‧‧‧‧‧‧‧‧‧‧‧‧‧‧‧‧‧‧‧‧‧‧‧‧
‧‧‧‧‧‧‧‧‧‧‧‧‧‧‧‧‧‧‧‧‧‧‧‧‧‧‧‧‧‧‧‧‧‧‧‧‧‧‧
중간평가
9)
3.
2)
‧‧‧‧‧‧‧‧‧‧‧‧‧‧‧‧‧‧‧‧‧‧‧‧‧‧‧‧‧‧‧‧‧‧‧‧‧‧‧
우선순위 선정
‧‧‧‧‧‧‧‧‧‧‧‧‧‧‧‧‧‧‧‧‧‧‧‧‧‧
8)
2)
9
인적사항
아직까지 진로에 관한 지歷史회 서비스 자체가 다양하지 못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이 모델 적용이 여러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따 그러나 우리나라의 현 상황에서 논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생각보다, 현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심리・사회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된다.
‧‧‧‧‧‧‧‧‧‧‧‧‧‧‧‧‧‧‧‧‧‧‧‧‧‧‧‧‧‧‧‧‧‧‧‧‧‧‧
대상자 기초사항 및문제 사정
‧‧‧‧‧‧‧‧‧‧‧‧‧‧‧‧‧‧‧‧‧‧‧‧‧‧‧‧‧‧‧‧‧‧‧‧‧‧‧‧‧‧‧‧‧
1. 연구의 당위성 및 심리‧사회모델의 목적
13
C T 母의 강점
서론
9.
‧‧‧‧‧‧‧‧‧‧‧‧‧‧‧‧‧‧‧‧‧‧‧‧‧‧‧‧‧‧‧‧‧‧‧‧‧‧‧
‧‧‧‧‧‧‧‧‧‧‧‧‧‧‧‧‧‧‧‧‧‧‧‧‧‧
事例(사례)관리 과정
재사정
다. 그러나 부모님의 뜻과 자녀의 바람이 달라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자녀를 상담하는 것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지history(역사) 회 자원 활용과 부모에 대한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일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자녀간의 진로문제 갈등‘에 대한 개입에는 심리사회 모델을 이용한 개입이 적절하다.
7.
6
‧‧‧‧‧‧‧‧‧‧‧‧‧‧‧‧‧‧‧‧‧‧‧‧‧‧‧‧‧‧‧‧‧‧‧‧‧
1.
사례(instance)관리 과정
교육적 문제
인적사항
‧‧‧‧‧‧‧‧‧‧‧‧‧‧‧‧‧‧‧‧‧‧‧‧‧‧‧‧‧‧‧‧‧‧‧‧‧‧‧
3)
6.
12
7.
환경적 문제
진로에 대한 부모중심 결정 이유
1.
종 결
CT의 강점
2.
4
2.
‧‧‧‧‧‧‧‧‧‧‧‧‧‧‧‧‧‧‧‧‧‧‧‧‧‧‧‧‧‧‧‧‧‧‧‧‧‧‧
자원분류
심리사회모델 사례
C T 母의 강점
1)
4.
‧‧‧‧‧‧‧‧‧‧‧‧‧‧‧‧‧‧‧‧‧‧‧‧‧‧‧‧‧‧‧‧‧‧‧‧‧‧‧
‧‧‧‧‧‧‧‧‧‧‧‧‧‧‧‧‧‧‧‧‧‧‧‧‧‧‧‧‧‧‧‧‧‧‧‧‧‧‧
사회적 상황
‧‧‧‧‧‧‧‧‧‧‧‧‧‧‧‧‧‧‧‧‧‧‧‧‧‧‧‧‧‧‧‧‧‧‧‧‧‧‧
가계도 ․ 생태도 ․ Time line &생활력표
4.
5
진로에 대한 부모중심 결정 이유
‧‧‧‧‧‧‧‧‧‧‧‧‧‧‧‧‧‧‧‧‧‧‧‧‧‧‧‧‧‧‧‧‧‧‧‧‧‧‧
심리 정서적 문제
5)
3)
Ⅰ
11
연구의 당위성 및 심리‧사회모델의 목적
심리․사회모델
‧‧‧‧‧‧‧‧‧‧‧‧‧‧‧‧‧‧‧‧‧‧‧‧‧‧‧‧‧‧‧‧‧‧‧‧‧‧‧‧‧‧‧
2)
9)
‧‧‧‧‧‧‧‧‧‧‧‧‧‧‧‧‧‧‧‧‧‧‧‧‧‧‧‧‧‧‧‧‧‧‧‧‧‧‧
‧‧‧‧‧‧‧‧‧‧‧‧‧‧‧‧‧‧‧‧‧‧‧‧‧‧‧‧‧‧‧‧‧‧‧‧‧‧‧
‧‧‧‧‧‧‧‧‧‧‧‧‧‧‧‧‧‧‧‧‧‧‧‧‧‧‧‧‧‧‧‧‧‧‧‧‧‧‧
Ⅰ. 서 론
9.
13
경제적 문제
理論(이론)적 배경
진로미결정
1)
‧‧‧‧‧‧‧‧‧‧‧‧‧‧‧‧‧‧‧‧‧‧‧‧‧‧‧‧‧‧‧‧‧‧‧‧‧‧‧
environment(환경) 적 문제
중간평가
Ⅰ
사례(instance)개요
‧‧‧‧‧‧‧‧‧‧‧‧‧‧‧‧‧‧‧‧‧‧‧‧‧‧‧‧‧‧‧‧‧‧‧‧‧‧‧
우선순위 선정
심리사회모델 사례(instance)
‘부모-자녀간의 진로문제 갈등’은 개인인 자녀 뿐 만 아니라 주변인물의 influence으로 발생되는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자녀간의 진로문제 갈등‘에 대한 개입에는 심리사회 모델을 이용한 개입이 적절하다. 이 같이 고등학생인 경우 아직까지 부모님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례(instance)개입 할 때에도 개인과 환경 모두에게 해야 한다.
‧‧‧‧‧‧‧‧‧‧‧‧‧‧‧‧‧‧‧‧‧‧‧‧‧‧‧‧‧‧‧‧‧‧‧‧‧
대상자 기초사항 및문제 사정
‧‧‧‧‧‧‧‧‧‧‧‧‧‧‧‧‧‧‧‧‧‧‧‧‧‧‧‧
3.
3
事例(사례)개요
‧‧‧‧‧‧‧‧‧‧‧‧‧‧‧‧‧
호로그램 평가
8
‧‧‧‧‧‧‧‧‧‧‧‧‧‧‧‧‧‧‧‧‧‧‧‧‧‧‧‧
‧‧‧‧‧‧‧‧‧‧‧‧‧‧‧‧‧‧‧‧‧‧‧‧‧‧‧‧‧‧‧‧‧‧‧‧‧‧‧
순서
‧‧‧‧‧‧‧‧‧‧‧‧‧‧‧‧‧‧‧‧‧‧‧‧‧‧‧‧‧‧‧‧‧‧‧‧‧‧‧
9
‧‧‧‧‧‧‧‧‧‧‧‧‧‧‧‧‧‧‧‧‧‧‧‧‧‧‧‧‧‧‧‧‧‧‧‧‧‧‧
‧‧‧‧‧‧‧‧‧‧‧‧‧‧‧‧‧‧‧‧‧‧‧‧‧‧‧‧‧‧‧‧‧‧‧‧‧‧‧
‧‧‧‧‧‧‧‧‧‧‧‧‧‧‧‧‧‧‧‧‧‧‧‧‧‧‧‧‧‧‧‧‧‧‧‧‧‧‧
연구의 necessity need 및 심리‧사회모델의 목적
3.
‧‧‧‧‧‧‧‧‧‧‧‧‧‧‧‧‧‧‧‧‧‧‧
8.
‧‧‧‧‧‧‧‧‧‧‧‧‧‧‧‧‧‧‧‧‧‧‧‧‧‧‧‧‧‧‧‧‧‧‧‧‧‧
6)
5
교육적 문제
4)
7)
심리․사회모델
12
‧‧‧‧‧‧‧‧‧‧‧‧‧‧‧‧‧‧‧‧‧‧‧‧‧‧‧‧‧‧‧‧‧‧‧‧‧‧‧‧‧‧‧‧‧‧
1. 연구의 necessity need 및 심리‧사회모델의 목적
심리 정서적 문제
‘부모-자녀간의 진로문제 갈등’은 개인인 자녀 뿐 만 아니라 주변인물의 effect으로 발생되는 문제이다. 아직까지 진로에 관한 지역사회 서비스 자체가 다양하지 못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이 모델 적용이 여러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1. 연구의 필요성 및 심리‧사회모델의 목적 ‘부모-자녀간의 진로문제 갈등’은 개인인 자녀 뿐 만 아니라 주변인물의 영향으로 발생되는 문제이다. 사례개입 할 때에도 개인과 환경 모두에게 해야 한다.
‧‧‧‧‧‧‧‧‧‧‧‧‧‧‧‧‧‧‧‧‧‧‧‧‧‧‧‧‧‧‧‧‧‧‧‧‧‧‧
10
가계도 ․ 생태도 ․ Time line &생활력표
2)
목 차
종 결
6





한계점 및 結論
Ⅱ
11
한계점 및 結論(결론)
재사정
개입계획
5.
Ⅲ
6.
8
서론
‧‧‧‧‧‧‧‧‧‧‧‧‧‧‧‧‧‧‧‧‧‧‧‧‧‧‧‧‧‧‧‧‧‧‧‧‧‧‧
Download : 심리사회모델 사례.hwp( 44 )
‧‧‧‧‧‧‧‧‧‧‧‧‧‧‧‧‧‧‧‧‧‧‧‧‧‧‧‧‧‧‧‧‧‧‧‧‧‧‧
‧‧‧‧‧‧‧‧‧‧‧‧‧‧‧‧‧‧‧‧‧‧‧
2
5)
아직까지 진로에 관한 지history(역사) 회 서비스 자체가 다양하지 못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는 이 모델 적용이 여러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아 그러나 우리나라의 현 상황에서 논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생각보다, 현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심리・사회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우리나라의 복지환경, 특히 부모와 진로갈등을 겪고 있는 자녀에 대한 심리・사회모델 적용의 necessity need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복지environment(환경) , 특히 부모와 진로갈등을 겪고 있는 자녀에 대한 심리・사회모델 적용의 당위성은 다음과 같다. 자녀를 상담하는 것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지역사회 자원 활용과 부모에 대한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같이 고등학생인 경우 아직까지 부모님의 influence을 많이 받는 것을 알 수 있따 그러나 부모님의 뜻과 자녀의 바람이 달라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따
Ⅲ
3.
3
8.
2
‧‧‧‧‧‧‧‧‧‧‧‧‧‧‧‧‧‧‧‧‧‧‧‧‧‧‧‧‧‧‧‧‧‧‧‧‧‧‧
‧‧‧‧‧‧‧‧‧‧‧‧‧‧‧‧‧
7
1.
‧‧‧‧‧‧‧‧‧‧‧‧‧‧‧‧‧‧‧‧‧‧‧‧‧‧‧‧‧‧‧‧‧‧‧‧‧‧
6)
‧‧‧‧‧‧‧‧‧‧‧‧‧‧‧‧‧‧‧‧‧‧‧‧‧‧‧‧‧‧‧‧‧‧‧‧‧‧
레포트 > 기타
4)
7
‧‧‧‧‧‧‧‧‧‧‧‧‧‧‧‧‧‧‧‧‧‧‧‧‧‧‧‧‧‧‧‧‧‧‧‧‧‧‧
‧‧‧‧‧‧‧‧‧‧‧‧‧‧‧‧‧‧‧‧‧‧‧‧‧‧‧‧‧‧‧‧‧‧‧‧‧‧
‧‧‧‧‧‧‧‧‧‧‧‧‧‧‧‧‧‧‧‧‧‧‧‧‧‧‧‧‧‧‧‧‧‧‧‧‧‧‧‧‧‧‧
10
이론(理論)적 배경
1)
고교 계열 선택 시 최종결정자는 본인 스스로가 54.5%, 부모・형제가 28.8%, 학교선생님이 16.8%로 부모・형제인 경우가 전체의 약 30%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복지환경, 특히 부모와 진로갈등을 겪고 있는 자녀에 대한 심리・사회모델 적용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자녀를 상담하는 것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지歷史회 자원 활용과 부모에 대한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자녀간의 진로문제 갈등‘에 대한 개입에는 심리사회 모델을 이용한 개입이 적절하다. ‧‧‧‧‧‧‧‧‧‧‧‧‧‧‧‧‧‧‧‧‧‧‧‧‧‧‧‧‧‧‧‧‧‧‧‧‧‧‧
‧‧‧‧‧‧‧‧‧‧‧‧‧‧‧‧‧‧‧‧‧‧‧‧‧‧‧‧‧‧‧‧‧‧‧‧‧‧‧
목 차
‧‧‧‧‧‧‧‧‧‧‧‧‧‧‧‧‧‧‧‧‧‧‧‧‧‧‧‧‧‧‧‧‧‧‧‧‧‧‧
1)
자원분류
목 차 Ⅰ 서론 ‧‧‧‧‧‧‧‧‧‧‧‧‧‧‧‧‧‧‧‧‧‧‧‧‧‧‧‧‧‧‧‧‧‧‧‧‧ 2 1. 연구의 필요성 및 심리‧사회모델의 목적 ‧‧‧‧‧‧‧‧‧‧‧‧‧‧‧‧‧ 2. 이론적 배경 ‧‧‧‧‧‧‧‧‧‧‧‧‧‧‧‧‧‧‧‧‧‧‧‧‧‧‧‧‧‧‧‧‧‧‧‧‧‧‧‧‧‧‧‧‧ 3 1) 진로미결정 ‧‧‧‧‧‧‧‧‧‧‧‧‧‧‧‧‧‧‧‧‧‧‧‧‧‧‧‧‧‧‧‧‧‧‧‧‧‧‧‧‧‧‧‧‧‧ 2) 진로에 대한 부모중심 결정 이유 ‧‧‧‧‧‧‧‧‧‧‧‧‧‧‧‧‧‧‧‧‧‧‧‧‧‧‧‧ 3. 심리․사회모델 ‧‧‧‧‧‧‧‧‧‧‧‧‧‧‧‧‧‧‧‧‧‧‧‧‧‧‧‧‧‧‧‧‧‧‧‧‧‧‧‧‧‧‧ Ⅱ 사례관리 과정 ‧‧‧‧‧‧‧‧‧‧‧‧‧‧‧‧‧‧‧‧‧‧‧‧‧‧‧‧‧‧‧‧‧‧‧‧‧‧ 4 1. 사례개요 ‧‧‧‧‧‧‧‧‧‧‧‧‧‧‧‧‧‧‧‧‧‧‧‧‧‧‧‧‧‧‧‧‧‧‧‧‧‧‧ 2. 대상자 기초사항 및문제 사정 ‧‧‧‧‧‧‧‧‧‧‧‧‧‧‧‧‧‧‧‧‧‧‧‧‧‧ 1) 인적사항 ‧‧‧‧‧‧‧‧‧‧‧‧‧‧‧‧‧‧‧‧‧‧‧‧‧‧‧‧‧‧‧‧‧‧‧‧‧‧‧ 2) 가계도 ․ 생태도 ․ Time line &생활력표 ‧‧‧‧‧‧‧‧‧‧‧‧‧‧‧‧‧‧‧‧‧‧‧ 5 3) 심리 정서적 문제 ‧‧‧‧‧‧‧‧‧‧‧‧‧‧‧‧‧‧‧‧‧‧‧‧‧‧‧‧‧‧‧‧‧‧‧‧‧‧‧ 6 4) 경제적 문제 ‧‧‧‧‧‧‧‧‧‧‧‧‧‧‧‧‧‧‧‧‧‧‧‧‧‧‧‧‧‧‧‧‧‧‧‧‧‧‧ 7 5) 교육적 문제 ‧‧‧‧‧‧‧‧‧‧‧‧‧‧‧‧‧‧‧‧‧‧‧‧‧‧‧‧‧‧‧‧‧‧‧‧‧‧‧ 6) 환경적 문제 ‧‧‧‧‧‧‧‧‧‧‧‧‧‧‧‧‧‧‧‧‧‧‧‧‧‧‧‧‧‧‧‧‧‧‧‧‧‧‧ 7) 사회적 상황 ‧‧‧‧‧‧‧‧‧‧‧‧‧‧‧‧‧‧‧‧‧‧‧‧‧‧‧‧‧‧‧‧‧‧‧‧‧‧‧ 8 8) CT의 강점 ‧‧‧‧‧‧‧‧‧‧‧‧‧‧‧‧‧‧‧‧‧‧‧‧‧‧‧‧‧‧‧‧‧‧‧‧‧‧‧ 9) C T 母의 강점 ‧‧‧‧‧‧‧‧‧‧‧‧‧‧‧‧‧‧‧‧‧‧‧‧‧‧‧‧‧‧‧‧‧‧‧‧‧‧‧ 3. 우선순위 선정 ‧‧‧‧‧‧‧‧‧‧‧‧‧‧‧‧‧‧‧‧‧‧‧‧‧‧‧‧‧‧‧‧‧‧‧‧‧‧‧ 4. 개입계획 ‧‧‧‧‧‧‧‧‧‧‧‧‧‧‧‧‧‧‧‧‧‧‧‧‧‧‧‧‧‧‧‧‧‧‧‧‧‧‧ 9 5. 자원분류 ‧‧‧‧‧‧‧‧‧‧‧‧‧‧‧‧‧‧‧‧‧‧‧‧‧‧‧‧‧‧‧‧‧‧‧‧‧‧‧ 10 6. 중간평가 ‧‧‧‧‧‧‧‧‧‧‧‧‧‧‧‧‧‧‧‧‧‧‧‧‧‧‧‧‧‧‧‧‧‧‧‧‧‧‧ 11 7. 재사정 ‧‧‧‧‧‧‧‧‧‧‧‧‧‧‧‧‧‧‧‧‧‧‧‧‧‧‧‧‧‧‧‧‧‧‧‧‧‧‧ 12 8. 프로그램 평가 ‧‧‧‧‧‧‧‧‧‧‧‧‧‧‧‧‧‧‧‧‧‧‧‧‧‧‧‧‧‧‧‧‧‧‧‧‧‧‧ 9. 종 결 ‧‧‧‧‧‧‧‧‧‧‧‧‧‧‧‧‧‧‧‧‧‧‧‧‧‧‧‧‧‧‧‧‧‧‧‧‧‧‧ Ⅲ 한계점 및 결론 ‧‧‧‧‧‧‧‧‧‧‧‧‧‧‧‧‧‧‧‧‧‧‧‧‧‧‧‧‧‧‧‧‧‧‧‧‧‧ 13 Ⅰ. 서 론 고교 계열 선택 시 최종결정자는 본인 스스로가 54.5%, 부모・형제가 28.8%, 학교선생님이 16.8%로 부모・형제인 경우가 전체의 약 30%로 나타났다.
‧‧‧‧‧‧‧‧‧‧‧‧‧‧‧‧‧‧‧‧‧‧‧‧‧‧‧‧‧‧‧‧‧‧‧‧‧‧‧
설명
CT의 강점
Ⅰ. 서 론
‧‧‧‧‧‧‧‧‧‧‧‧‧‧‧‧‧‧‧‧‧‧‧‧‧‧‧‧‧‧‧‧‧‧‧‧‧‧‧‧‧‧‧‧‧
2.
프로그램(program]) 평가
‧‧‧‧‧‧‧‧‧‧‧‧‧‧‧‧‧‧‧‧‧‧‧‧‧‧‧‧‧‧‧‧‧‧‧‧‧‧‧
사회적 상황
2.
7)
5.
고교 계열 선택 시 최종결정자는 본인 스스로가 54.5%, 부모・형제가 28.8%, 학교선생님이 16.8%로 부모・형제인 경우가 전체의 약 30%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