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의 동북공정(고구려사 왜곡)과 대응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7 04:54
본문
Download : 중국의 동북공정(고구려사 왜곡)과 대응.hwp
또한 11월 15일에는 고구려의 국내성 천도 2000주년을 맞아 ‘고구려는 중국(中國)의 지방정권인가?’라는 주제로 한중일의 학자가 모여 토론을 펼쳤다. 다들 좋은 report 쓰시길 바랍니다. 여러분들에게 많은 활용이 되기를 바랍니다. ^^
설명
순서
Download : 중국의 동북공정(고구려사 왜곡)과 대응.hwp( 79 )
레포트/사범교육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내용과 목적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한국의 대응과 과제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한국정신culture연구원에서 개최되었던 “the twenty-first century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사회와 교육”(10. 14.)에서는 한중간의 교과서 문제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고대사 중 상대방의 정보 부족과 학설의 차이, 사관과 history(역사) 교육 방법론의 차이로 상이한 history(역사) 서술을 보이고 있음을 밝히면서 특히 발해사의 인식과 서술 문제를 지적하기도 하였다. 이에 따르면 현재 조선족은 고구려 명망 후 장시간 민족적 융합과 교류 속에서 신라인을 주체로 형성되었는데, 이 융합과정에는 한반도에 남아있던 소수의 고구려인, 말갈족, 한족이 섞이게 되었으며, 여기에 19세기 중엽 이후 한반도의 조선인이 중국(中國)으로 넘어와 융합되면서 오늘날의 조선족이 되었다는 것이다.
China의 동북공정에 대한 내용과 목적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한국의 대응과 project에 대하여 요약했습니다. 다들 좋은 레포트 쓰시길 바랍니다. 2003년 10월 세종culture회관에서 열린 ‘고구려 벽화의 세계’에서는 한국의 중국(中國)의 의도에 대한 반박이라는 성격을 보이면서 용의주도하게 고구려를 가져가려는 중국(中國)에 맞서 고구려 벽화는 우리의 culture라는 것을 세계에 알리겠다는 취지가 있었다. 여러분들에게 많은 활용이 되기를 바랍니다.
11월 3일에는 한국고대사학회가 긴급 연석회의를 열어 중국(中國)의 history(역사) 왜곡논리를 반박하기 위한 체계적 연구를 추진하기로 하였으며, 한국정신culture연구원도 12월 ‘동북아시아 고대사 연구의 방향’을 주제로 동북아 고대사 관련 학술대회를 열었다. 이후 고대사학회를 포함한 17개 학회가 ‘중국(中國)의 고구려사 왜곡 대책 학술 발표회’(12. 9.)를 개최하였고, 민족culture연구소의 ‘동북아시아 고대사 연구의 방향’(12. 15.)과 고구려 연…(省略)
China의 동북공정(고구려사 왜곡)과 대응
다. 이 논리대로라면 조선족은 고구려 멸망 이후 천 년이 넘은 시간 동안 한족과 섞여 살아가면서도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해오고 있었다는 말이 된다
4. 한국의 대응과 처리해야할문제
중국(中國)의 도전에 대하여 한국은 먼저 각종 학술대회를 개최함으로써 문제의 심각성을 공론화 하였다. ^^ , 중국의 동북공정(고구려사 왜곡)과 대응사범교육레포트 ,
%EA%B3%BC%20%EB%8C%80%EC%9D%91_hwp_01.gif)
%EA%B3%BC%20%EB%8C%80%EC%9D%91_hwp_02.gif)
%EA%B3%BC%20%EB%8C%80%EC%9D%91_hwp_03.gif)
%EA%B3%BC%20%EB%8C%80%EC%9D%91_hwp_04.gif)
,사범교육,레포트
1. 서
2. 동북공definition 목적
3. 동북공definition 내용
4. 한국의 대응과 처리해야할문제
또 하나 살펴봐야 할 동북공definition 내용은 중국(中國) 조선족의 혈통 자체를 왜곡하고 있다는 점이다.